반응형

비과세 6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차이, 비거주자의 연말정산 (2024.ver)

거주자와 다른 비거주자의 연말정산 목차 거주자란? 비거주자란?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차이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차이 국내에 거주하는 개인이 국내에 주소를 가진 것으로 보는 경우 거주기간 계산하는 방법 거주자가 비거주자로 되는 시기 비거주자가 거주자로 되는 시기 해외현지법인 등의 임직원에 대한 거주자 판정 과세대상 소득의 범위 비거주자의 국내원천소득 비거주자의 연말정산 방법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구분 거주자란? 거주자는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개인 비거주자란? 비거주자는 거주자가 아닌 개인을 말한다.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주소로 보는 판정 거주자와 비거주자의 차이 거주자는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개인을 말하며, 비거주자는 거주자가 아닌 개인을 말한다. 거주자와 비..

연말정산 비과세 근로소득의 모든 것 - (근로소득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 목차 종업원의 사택제공이익 단체순수보장성보험 공무원의 연 240만 원 이내의 상금과 부상 퇴직급여 지급을 위해 회사가 적립한 금액 선원의 재해보상을 위한 보험료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부터 받는 장학금 경조금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 국외근로소득 생산직근로자가 받는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 식대 복무 중인 경우 장해급여, 유족급여 등 장학금 중 대학생이 근로를 대가로 지급받는 급여 발명진흥법에 따른 직무발명으로 받는 보상금 국군포로가 받는 보수 및 퇴직일시금 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 or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 사대보험 중 회사가 부담하는 보험료 비과세 근로소득 종업원의 사택제공이익 주주 또는 출자자가 아닌 임원, 사택을 제공하는 법인의 「법인세법..

생산직 근로자의 연장근무수당 (연장근로수당) 비과세 처리에 대한 모든 것 (2024ver)

생삭직 근로자는 연장근무를 하고 지급받는 급여의 일정 부분을 비과세 처리하여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생산직 근로자란? 생산직 근로자의 범위 비과세 처리되는 수당 범위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액의 조건에 해당되는 생산직만 비과세 처리가 가능하다. 월정액 급여 조건에 해당되는 생산직만 비과세 처리가 가능하다. 일용근로자인 생산직 근로자의 경우 비과세 적용 가능 여부 비과세 판단 기준인 생산직의 월정액 급여 계산 시 각종 수당 포함 여부 중도퇴사자의 월정액 급여 계산 방법 중도퇴사자의 비과세 한도 생산직의 비과세 한도 Q&A. 월정액 급여 210만원 이하인 달에만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나요? 생산직 근로자란? 생산직 근로자란? 공장, 작업장 등에서 종사하며, 체력을 소모하는 단순 노동자를 말..

국외근로소득 (국외근무수당) 비과세 처리에 대한 모든 것 (2024ver)

국외에서 근무하고 받는 급여는 비과세 처리하여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근외근로소득 (국외근무수당) 이란? 근외근로소득 (국외근무수당) 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란? 비과세 적용되는 국외근로소득 (국외근무수당) 범위 해외파견 기간에 받는 급여에 대한 비과세 여부 출장 목적으로 출국시 지급받는 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연수 목적으로 출국시 지급받는 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수출품 설치를 위해 해외 출장기간에 대하여 지급받는 급여에 대한 비과세 여부 일용근로자의 해외에서 근무 후 지급받는 급여에 대한 비과세 여부 해외건설 공사현장에서 설계업무 후 지급받는 급여에 대한 비과세 여부 해외건설 공사현장에서 재무, 인사, 영업, 자재, 회계업무 후 지급받는 급여에 대한 비과세 여부 국외근로기간이 1개월..

실비변상적 급여에 대한 모든 것 (2024ver)

회사에서 받는 실비변상적 급여를 비과세 처리하여 세금을 부과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란? 실비변상적 성질의 급여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란? 비과세 적용되는 실비변상적 급여의 범위 법령, 조례에 의한 위원회에서 보수를 받지 않는 위원이 받는 수당 에 대한 비과세 여부 선원이 지급받는 식료품에 대한 비과세 여부 일직료, 숙직료에 대한 비과세 여부 제복, 제모, 제화에 대한 비과세 여부 작업복, 직장복에 대한 비과세 여부 특수분야종사자가 지급받는 근무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함정근무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승선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광산근로자의 입갱수당과 발파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연구보조비에 대한 비과세 여부 방과후수업을 하는 교원이 받는 수당에 대한 비과세 여부 연구개발전담부서..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에 대한 모든 것 (2024ver)

매년 최대 240만 원의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에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목차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 이란?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 비과세 적용이란?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 비과세 요건 Q&A. 근로자 명의로 임차(리스)한 차량도 가능한가요? Q&A. 배우자와 공동명의인 차량도 가능한가요? Q&A. 배우자가 아닌 다른 가족과 공동명의인 차량은 가능한가요? Q&A. 매월 자가운전보조금을 받고 있는 근로자는 외근 시 발생한 유류비 사용분을 정산받을 수 있나요? Q&A. 출퇴근을 위해 지급하는 보조금도 비과세 대상에 해당되나요? Q&A. 자가운전보조금 (자기차량운전보조금)을 받는 사람은 주차료도 정산받지 못하나요? Q&A. 시내가 아닌 시외출장의 경우 Q&..

반응형